자료실

자료실

Jung의 분석적 놀이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3-07 14:41 조회1,253회 댓글0건

본문

Jung의 분석적 놀이치료

Eric J. Green

 

Jung은 아동의 정신이 상징적인 동일시에 의해 나타나는 선험적인 기능(transcendent function, 본능적으로 성격의 통합을 추구하는 것)을 지니고 있다고 믿었다. 아동의 상징 혹은 원형(archetypes)은 그들이 속한 거시체계(macrosystem)의 맥락 내에서 전형적으로 그들 자신의 시각에 의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 자기 치유적인 원형(self-healing archetype)은 자아(ego)와 자기(self) 간의 균형잡힌 의사소통을 인식하고 성취하는 것으로서 치유를 촉진하는 타고난 상징(innate symbol)이다. 자아(ego)는 합리적인 사고의 자리 혹은 기능이며 자기(self)는 성격과 제휴된 자아에 포함된 것으로 중심을 구성하는 원형이다. 양극을 조화시킴으로써 아동은 원형적인 갈등(archetype complexes)- 선과 악, 수치심과 자긍심, 형벌과 구원 간의 투쟁에 기본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갈등- 내에 있는 양분된 느낌의 분위기를 해결함으로써 내적인 치유를 촉진한다. 원형적인 갈등은 심상에 연결된 일련의 정서와 강하게 상호 결합되어 있다.

 

 

1. 성격이론

Carl Gustav Jung(1875. 6. 26)은 스위스의 캐스빌에서 태어났다.

Jung 이론의 핵심 : 분석심리학, 상징적인 삶과의 관련성 혹은 개인이 그들 내부에 있는 상징과 연관되는 방식으로 개성화해가는 내적인 여행을 통해서 자기발견에 이르는 것이다. Jung은 꿈에 나타나는 상징을 이해하기 위해 작업하면서 상징이 이끄는 대로 갈 때 성장이 일어난다고 가정했다.

정신분석이론에 기원을 두면서, Jung의 놀이치료는 아동의 성격발달에서 정신이 하는 역할에 초점을 둔다. 정신(psyche)은 행동과 느낌 등 의식적인 경험을 조절하는 것으로 아동이 지닌 사고의 중심으로 정의된다.

 

Freud의 개인무의식 : 개인의 무의식적 기억과 억압된 정서가 저장된 곳

개인무의식 안에는 그림자(shadow)가 있는데, 이는 정신의 친절하고 좋은 측면과 심술궂은 측면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Jung은 분석을 통해 성격의 그림자 부분을 통합함으로써 정신적인 치유와 전체성이 생길 수 있다고 믿었다.

Jung의 집단무의식 : 모든 인간에게 동일하고 우리 모두에게 나타나는 것으로 개인적인 본성보다 우위에 있고 보편적이고 정신적인 생화학적 기질을 구성하고 있다.

개성화 : 전체성(개인에게 내재된 대극을 인정하고 조정하는 것)을 향한 정신의 핵분열로부터 이루어지는 과정을 말한다.

아동에서 있어서 성장과정은 자아가 자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따라 일어나게 된다. 성인기 후기에, 성장은 자기와 자아가 일직선상에 재통합됨으로써 발생한다.

Jung은 출생 시에는 자아의식이 없으며 의식적인 정신의 중심에 자아가 있다고 믿었다. 그는 자아가 자기 내에 묻혀있다고 언급했다.

아동이 적절하게 보살핌을 받을 경우에 안정 애착감이 형성되면서 긍정적인 양육의 내사 혹은 이마고 심상이 일어나게 된다. 안정 애착과 함께 아동은 적대적인 정서적 사건을 해결하는 건강한 대처기술과 자아강도를 발달시키게 된다. 영아의 원초적인 욕구는 양육자를 통해 이뤄지지 않으며 어머니와 아버지상에 대한 부정적인 심상을 내사하게 된다. 이러한 부정적인 심상들은 충분히 좋은 부모가 아닌(not-good enough parents)것으로 내면화되고 경직된 자아방어를 형성한다.

자아방어는 포기, 거부, 외로움 등 무수한 감정들로 인해서 나타나는 붕괴로부터 아동의 연약한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단단해진다.

정신은 반대의 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남성은 아니마(anima, 여성적 특성)를 지니고 있으며, 여성은 아니무스(animus, 남성적 특성)를 지니고 있다.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함께 신성한 결합 혹은 대극의 결합을 형성한다. 부정적인 어머니/ 아버지 상이 우세한 아동에게서 성격발달은 불안정 애착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불안정하게 지각되는 상과 맞서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당히 많은 부정, 억압, 투사적 동일시 등으로 이어진다.

의식적인 정신이 자아를 구성하는 데 반해, 아동의 무의식적인 정신은 집단무의식과 개인무의식으로 구성된다.

아동의 성격유형과 무관하게, Jung 학파의 치료자는 아동의 감정수준에 머무른다. 자아 심리학자들은 파고들기를 원할 것이나 Jung 학파 분석가들은 참을성 있게 관찰한다. 임상작업에서 일단 신뢰가 형성되어야 하며 그런 다음에는 아동의 무의식은 상징으로 들어가는 것이 자유로워지고 상징은 감정과 따로 기능하게 된다. 감정에 몰입하면서 감정을 변화시킨다.

 

 

2. 정신병리 모델

참을 수 없는 수준의 불안이 아동의 취약한 자아를 압도하는 경우, 아동의 성격을 파괴할 만큼 위협적인 분할(deintegration)이 일어난다. 이러한 붕괴를 막기 위해 원형적인(archetypal) 자기보호체계(self-care system)가 아동을 구하기 위해 등장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러한 자기보호체계는 방어적인 분할을 통해 무의식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아동의 취약한 정신을 안전하게 감싸게 되는 고전적인 기제이다. 참을 수 없는 고통에 대항하는 아동의 정신적인 방어는 현존하는 불안으로부터 아동을 분리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원형적인 수호신(daimon) 혹은 자기보호체계에서 나타나는 심상을 보낸다. , 아동의 전이적 공간(transitional space)이 마련된다. 전이적 공간은 내적세계와 외부세계 간의 영역이며 아동은 그곳에서 상징을 창조적으로 가지고 놀고 활용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Jung은 극도의 외상이 일시적으로 심화되었을 때, 상징적인 의사소통이 자아를 지향하는 무의식적이 정신과 접촉해서 아동이 치유와 충족을 향하도록 안내해 준다고 믿었다.

정신병리를 경험하는 아동은 종종 외부세계를 스스로 관리하는 자아의 능력에 자기(Self)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특히, 아동의 정신병리는 아동의 외부세계와 내적 세계 간의 전이적 공간이 침식될 때 발달되며 그들의 무의식과의 연결이 극도로 빈약할 때 드러난다. 외상의 결과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자아에서 의미 있는 통합이 일어나야 한다.

아동이 빈약한 전이공간을 회복하도록 도와서 창조적 능력이 재충전될 수 있게 하려면 무의식과 의식 간의 연결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고통과 편안함의 양극을 탐색할 수 있는 아동의 능력과 아동의 자아를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Jung 학파의 관점에서, 이러한 대극의 연합(coniunctio oppositorum) 혹은 대극의 합류(꿈 혹은 무의식에서 나타난 상징적인 심상을 판단하지 않고, 공감적인 치료자가 함께하는 가운데에서 아동이 표현하여 윤곽이 드러나는 것)는 심리적인 치유를 촉진한다.

 

 

3. 치료목표

Jung 학파의 놀이치료에서 최우선 목표는 개성화 과정을 활성화하는 것인데, 이것은 분석적인 태도를 통해 촉진된다. 치료자는 아동이 자신의 충동을 조절하고 내적 세계와 외부세계 간에 흐르는 에너지의 평형을 유지할 수 이TEhfhr 심상을 존중한다.

 

JAPT의 치료계획

1단계 : 잘 통제하고, 정서적 및 신체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매주 50분간 아동을 상담한다.

2단계 : 3주마다 아동의 가족이나 주 양육자와 부모놀이 혹은 가족놀이치료 회기를 진행한다.

3단계 : 전체적으로 보살피기 위해 학교 및 지역사회에 있는 전문가들로 구성된 다학제 팀을 통해 자문을 받는다

 

개성화의 목표는 상징의 변형을 통해 작동된다. Jung 학파의 놀이치료자들은 임상과정 전체를 통해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상징의 생성과 변형을 관찰한다. Jung 학파 아동심리치료자들 간의 한 가지 공통성은 아동용 임상 놀이실 안에 숨는 공간을 마련해 두는 것이다. 이것은 아동에게 안정감 있게 애착을 느끼게 해 줄 뿐 아니라 치료에서 나타난 상징이나 심상 중 일부가 자아를 놀라게 했을 때 아동이 숨을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 아동은 상징적인 행위와 은유로 말을 한다. 그러므로 Jung 학파 치료자는 회기에서 말하지 않은 혹은 행동화되지 않은 것에 관심을 기울인다.

치료자들은 분석적 태도를 유지한다. 아동이 지닌 격렬한 분노를 인식하고 관대한 태도를 통해 아동이 이러한 격한 분노를 행동적으로, 정서적으로, 상징적으로 표한할 수 있게 한다.

치료자의 분석적 태도는 아동이 충동 혹은 행위적인 맥락에서 정서와 심상이 담겨있는 징징적인 삶으로 이동하게 한다. 분노를 담아 줌으로써 치료자는 아동의 변형과정(transfornation process)을 촉진하고 공격성을 주장성으로 승화시키는데, 그것을 긍정적인 감정이 생기게끔 만든다. 치료자는 아동의 자기 파괴적인 과정을 차단해야 하지만, 공격성은 상징적으로 그리고 행동적으로 외부로 표현되어야 한다. 효과적인 치료자는 아동의 공격성을 담아준다.

치료의 또다른 목표는 아동이 좋은 어머니와 아버지상을 담아내어 스스로를 양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자기양육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상의 내면화가 생긴다.

Jung 학파의 관점에서 보는 치료 내에서의 치유는 놀이치료자가 아동의 자기치유적인 원형을 활성화시키도록 촉진할 때 발생한다. 이것은 창조력을 격려함으로써 그리고 무의식적 상징과 관련된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 정신 에너지를 받아들임으로써 나타난다. 특히, 상징은 아동에게 방치되었던 무의식의 영역을 정확하게 알려 줌으로써 치료 여행에서 그들이 있는 곳을 알려준다.

Jung 학파의 놀이치료자들은 아동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고 아동의 입장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한다. 놀이에서 자기치유적인 상징이 나타난 이후, 치료자는 아동의 도움을 받아 상징의 의미를 조화시킴으로써 아동이 내면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을 탐색한다.

Jung 학파 놀이치료자들은 아동 자신이 표현한 상징의 의미를 아동이 조화시킬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돕는다.

(1) 아동에게 상징의 의미를 질문하고

(2) 상징과 관련해 상징과 나누는 내면의 대화를 외현화하도록 요구한다.

치유적인 상징의 의미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이전의 모든 인식들을 비워 냄으로써, 치료자는 개방된 통로를 아동이 그들 자신의 내적인 치유를 놀이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촉진한다.

 

 

4. Jung 학파 놀이치료자의 역할

놀이치료자의 역할은 아동이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그림, 극 놀이 혹은 모래놀이 등에서 지시적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아동의 창조력에 안장을 얹어 아동이 사용할 수 있는 자아 에너지를 북돋아 주는 관찰자 또는 참여자이다. 아동이 그 안에서 작동하고 있는 원형적 혹은 상징적 콤플렉스를 평가하기 위해 작품해석과 전이분석을 활용하는데, 종종 양극성이 포함된다.

콤플렉스(complex)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강하게 동일시된 정서와 신념에 관한 무의식의 모음들이다. Jung은 콤플렉스가 외상경험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놀이치료자는 아동이 성격의 어두운 부분인 그림자를 발견하고 통합하도록 촉진하며 아동은 정신적 평형을 유지하고 정신건강을 고취시키게 된다.

놀이치료자의 또다른 역할은 부모놀이치료나 가족놀이치료에서 법적 후견인에 포함되어 참여하는 것이다.

(1) Jung 학파 분석가와 함께 광범위한 개인분석과정을 통해 상징을 이해하며

(2) 격노를 개념화하고 아동이 그것을 상징화하도록 도우며

(3) 참여하면서도 분리된 것으로써 분석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4) 아동의 심리적인 해악의 일부를 다룸으로써 아동의 원재료를 이끌어 가는 능력을 소유하고

(5) 상징을 확장하기 위해 모래놀이, 미술 작업과 꿈 분석을 사용하고 아동의 자기(Self)가 이끄는 곳은 어디든지 따라간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